김용신의 그대와 여는 아침

음악FM 매일 07:00-09:00
0422화 사랑부터 하라고, 그것도 제대로!
그대아침
2025.04.22
조회 105
사랑은 조각 같은 걸지도 모른다.
커다란 바윗덩이를 보며 거친 바위에 숨어 있는 형상.
사랑을 본다. 망치를 들고 정으로 바위를 쪼갠다.
부스러기가 튀고 더러는 내 얼굴에, 눈에, 손에 튀기도 한다.
드디어 사랑의 형상이 나온다. 그런데 뭔가 못내 아쉽다.
망치질을 조금 더 한다. 사랑의 팔이, 머릿결이, 마음이 파이고 떨어져 나간다.
한참을 때리고 쪼개다 보니 커다랬던 바윗덩이가
마음에 못내 미치지 못했던 아까의 형상보다 훨씬 더 작은 부스러기가 되어있다.
조각난 것들을 다시 붙일 순 없다. 돌이 깨어지고 사랑도 깨어진다. 

다른 조각을 위한 다른 바위를 찾는다.
내가 깨서 없애버리는 바위도 있지만, 내가 가진 것으로는
도저히 조각할 수 없는 단단한 바위도 있다.
정을 대고 망치를 내리쳤는데 날이 나가고 망치가 튕겨 나가는 경우도 있다. 
닫혀 있는 마음에 보이지 않더라도 눈에 그릴 수 있는 형상을 조각하기까지 
석수나 돌이나 아프긴 매한가지다.
석수의 손에는 물집이 잡히고 돌에는 상처 또는 추억이 남는다.
마지막이라고 장담할 수 없으나 마지막이라고 믿고 싶은 완성의 조각을 만나면,
이때껏 이날을 위해 수많은 칼과 망치를 들었다는 걸 비로소 알아챈다.
아름다운 형상을 새기기 위한 망치질은 예술적 몸짓의 연장이지만,
원치 않았던 망치질은 그저 상처를 남기는 행위일 뿐이다.

난 어딘가 나사 하나쯤 빠진 어른이기에 말하고 싶다. 사랑부터 하라고.
사랑부터 하고 싶어도 뒤로 밀리고 돌이켜 후회할 일 많으니,
돌가루를 씹듯 청춘이 괴로울 때 많으니 사랑부터 하라고.
그것도 적당히 대충 하지 말고 제대로, 다 부서져 없어질 때까지 해보라고 말이다.
젊어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말은 틀렸다. 고생은 젊으나 늙으나 최대한 안 하는 게 좋다. 
꼭 아파야만 배울 수 있는 게 아니다. 아파야만 배울 수 있다면 그것은 진리가 아니다.
다만 사랑은, 아프더라도 하는 게 좋다.
바위 입장에서 조각가의 망치질은 아픔이지만
아픔인지 추억인지는 지나고 볼 일이다.
아픈 것도 사랑이고 추억도 사랑이다. 진짜 사랑은 아픔보다 더 큰 것을 남긴다.


*이수인의 <가장 빛나는 계절은 바로 오늘이었어>에서 따온 글.
줄인 내용이 많습니다. 원문으로 확인해 주시고
개인SNS등에 그대로 옮겨가지 말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