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때의 이류배우가 훗날 어떻게 미국의 대통령이 될 수 있었을까?
또 낙제생에다 형광등이라고 놀림을 당하던 아이가
어떻게 상대성원리를 발견하고 노벨상을 받을 수 있었을까?
그런가 하면,
훌륭한 재능을 타고난 아이들이 사회의 낙제생이 되어 평생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는 왜 그토록 많은가?
결론은 전통적인 지능(IQ)의 개념으론 부족하다는결론에 도달한 거죠
이미 알려진 일반적인 지식습득력 이상의 것이 요구되는
점점 복잡해지고 한 덩어리로 뒤엉켜가고 있는 세상에서
진정한 의미의 지능이란
창의력 조직력 참여도 동기 심리학적인 기량이나 인간성과 같은 특성들
즉 예전에는 '성격' 혹은 '개성'이라고 일컬어져 오던 정서적 사회적 능력들을 포함한다는 군요
감정지수(EQ)
그 척도를 가볍게 함 경험해 보실까요
당신과 당신 파트너 사이에 시비가 고조되었다
둘은 매우 흥분한 상태이고 사실이 아닌 비난으로 서로를 공격한다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a. 20 분간의 휴식을 제의하고 그 뒤에 토론을 계속한다
b. 싸움을 중지하고 더 이상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c. 유감스럽다고 말하고 상대방에게 용서를 구한다
d. 정신을 차리고 잠시 숙고한 후 당신이 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당신의 관점을 설명한다
a= 20 b= 0 c= 0 d= 0
최상의 답변은 a이다
흥분한 육체가 다시 진정될 때까지의 시간으로서 20 분
혹은 그 이상의 시간 동안 싸움을 중단하는 것은 적절하다
둘 중 하나 혹은 둘 다 맥박이 180 일 때에는
상대방의 감정과 논증을 받아들일 자세가 차단되어 있다
재밌는 건
제가 20대 때에는 b 의 대응이었던 것이
30대 40대 때는 c,d 의 마음으로
50대초입 저는 a, d를 넘나드네요
우리 박가속 가족들은 어떠실까요
해바라기 / 이젠 사랑 할 수 있어요
유리상자 / 사랑해도 될까요
베란다 프로젝트 / 괜찮아
웃는거야 / 서영은
댓글
()